오늘은 '본원통화'에 대해서 알아보자.
본원통화: 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를 올려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시장에 공급하는 통화.
처음 들으면 이해하기가 어렵다. 하지만, 잘 생각해보면 아주 쉬운 개념이니 천천히 따라오기 바란다.
시장에 통화량이 늘어난다는 말을 많이 들어봤을것이다. 보통 우리는 이러한 말을 들으면 "시장에 돈이 많이 돌아다니는구나"라고 뭉뚱그려 생각하게 되는데, 어떻게 보면 맞지만 자세히 보면 느낌이 다르다.
예를 들어보자. 한국은행에서 본원통화를 1억원 시장에 풀었다면 시장에는 통화량이 딱 1억 원만 늘까? 틀렸다.
통화량은 3억, 4억, 5억 ~10억까지 가능하다. 왜 그런것일까? 이는 통화량이 대출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 한 번 예를 들어, 만약 A가 1억 원의 자금을 가지고 Y은행에 예금을 맡겨놓는다면 통화량은 A가 가지고 있는 1억만 측정이 된다. 하지만, Y은행이 A의 예금 1억을 B에게 대출해준다면 A 1억, B 1억 이렇게 통화량은 총 2억이 된다. 대출로 인해서 통화량이 2배로 뛰어버린 것이다.
이것처럼 통화량은 대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여기서 최초로 한국은행이 시장에 공급하는 통화를 '본원통화'라고 한다. (보통 한국은 본원통화의 17배 정도 통화량 증가를 생각하고 정책을 펼친다.) 그렇다면 이러한 본원통화를 어떻게 사용해서 기준금리를 올리는 것일까?
우선 본원통화를 발행 및 회수할 때는 국고채를 매도 및 매입한다.
국고채를 매입하면서 시장에 돈을 풀어 본원통화를 발행하고, 국고채를 매도할 때는 본원통화를 회수하는 것이다. 만약 국고채를 매도한다면 채권시장에 채권 공급량이 많아져서 채권 가격은 하락하고 채권금리는 반대로 상승하게 된다. 기준금리는 채권금리를 따라가므로 기준금리는 덩달아 상승하게 되고, 시중에 있는 자금들은 은행으로 모이게 된다.(왜냐하면 예적금 금리가 높아지고, 대출금리 또한 높아지기 때문이다.)유동성 회수가 시작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시장에서의 돈의 가치는 높아지게 되고, 물가는 안정되게 된다.
이런 원리로 한국은행에서는 '본원통화'를 통해 기준금리 및 물가를 조절한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과 '구독' 부탁드립니다. |
참고로 제가 공부하는 동영상을 공유하오니, 이해가 되시지 않으시는 분들은 참고 바랍니다.
(내용은 똑같습니다.)
2021/02/21 - [따스한 경제/경제 이슈] - 가파르게 오르는 채권 금리. 위기의 신호일까.
2020/12/10 - [따스한 경제/경제 공부] - [따스한 경제 4] 채권과 이자율.
'따스한 경제 > 경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따스한 경제 10] '지급준비율'을 통한 통화량조절. (0) | 2021.03.11 |
---|---|
[따스한 경제 9] 공개시장운영. (0) | 2021.03.05 |
[따스한 경제 7] 소비,소득,정부지출. (2) | 2021.01.30 |
[따스한 경제 6] 명목 GDP, 실질 GDP (0) | 2021.01.14 |
[따스한 경제 5] GDP란? (0) | 2020.12.21 |
댓글